-
반응형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는 생식기 감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지속 감염 시 자궁경부암, 항문암, 구인두암 등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HPV 예방접종을 통해 관련 암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HPV 감염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고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일정 연령대의 여성 청소년과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무료 예방접종을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가지원 대상, 접종 일정, 접종 기관,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HPV 예방접종 국가지원 사업 상세 안내
1. HPV 예방접종 국가지원 대상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서는 4가 백신인 '가다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접종 일정은 첫 접종 나이에 따라 다르며, 다음과 같이 권장됩니다
12~17세 여성 청소년
- 2007년 1월 1일 ~ 2013년 12월 31일 출생한 여성
- 만 9~14세에 접종을 시작하면 2회 접종
- 만 15세 이상에 접종을 시작하면 3회 접종
18~26세 저소득층 여성
- 1998년 1월 1일 ~ 2006년 12월 31일 출생한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여성
- 총 3회 접종 필요
2. HPV 예방접종 지원 백신 및 접종 일정
현재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서 제공하는 백신은 **가다실(4가)**입니다.
📌 접종 일정
- 12~14세(만 9~14세) 접종 시작 시: 1차 접종 후 6~12개월 후 2차 접종 → 총 2회
- 15~26세(만 15세 이상) 접종 시작 시: 1차 접종 후 2개월 후 2차 접종, 이후 4개월 후 3차 접종 → 총 3회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 바로가기3. HPV 예방접종 가능한 병원 및 접종 기관
무료 예방접종은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 예방접종 가능 병원 조회: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 방문 전 백신 보유 여부를 확인하고 예약 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찾기
가까운 병원 찾기 바로가기4. HPV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및 국가보상제도
HPV 예방접종 후 접종 부위 통증, 발적, 부기 등의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경미하며 일시적입니다.
📌 예방접종 피해 국가보상제도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이 심하여 진료를 받았을 경우, 국가보상제도를 통해 보상 신청 가능
- 보상 신청 방법: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문의
HPV 예방접종 전·후 주의사항 5. 결론: HPV 예방접종은 필수, 지원 대상자는 꼭 접종하세요!
HPV 예방접종은 자궁경부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국가에서 지원하는 무료 예방접종 대상자는 청소년기(12~17세) 여성과 저소득층(18~26세) 여성이므로, 해당하는 경우 반드시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PV 예방접종 Q&A
Q1. 1차 접종 후 몇 년이 지났는데, 다시 처음부터 맞아야 하나요?
아니요. 중간에 접종이 지연되었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필요 없이 남은 접종을 완료하면 됩니다.Q2. HPV 백신을 남성도 맞을 수 있나요?
네, 만 9~45세 남녀 모두 접종할 수 있지만, 현재 국가 지원 대상에는 남성이 포함되지 않습니다.Q3. 접종 후 이상반응이 나타나면 어떻게 하나요?
접종 후 부작용이 심할 경우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여 국가보상제도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Q4. 국가 지원 대상이 아니면 비용이 얼마나 드나요?
병원에 따라 다르지만, 1회 접종당 약 15~20만 원 정도이며, 3회 접종이 필요합니다.HPV 예방접종은 미래의 건강을 위한 투자입니다. 해당하는 분들은 가까운 보건소나 지정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빠른 시일 내에 예방접종을 완료하세요!
HPV예방접종 안내 포스터 반응형'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중립포인트 가입부터 혜택까지, 한 번 등록하면 매달 내 통장으로! (0) 2025.03.14 2025년 임업직불금 지급 대상 및 조건, 변경사항 완벽 정리 (0) 2025.03.10 아동발달지원계좌 디딤씨앗통장 지원신청부터 해지까지 총정리 (0) 2025.03.07 농업경영체 등록 조건, 절차, 혜택 총정리! 농업 지원금과 세제 혜택까지 (0) 2025.03.05 보청기 국가보조금 지원,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조건과 신청 방법 총정리 (0) 2025.03.03 2025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방법, 지급일정, 지원대상 총정리 (0) 2025.03.02 2025년부터 확 달라지는 육아지원제도 (0) 2025.03.01 2025년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최대 30만 원 지원: 신청 방법 및 대상 안내 (0) 2025.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