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사회 초년생 및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고, 미래 설계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나온 정책입니다. 청년 4명 중 1명이 가입을 한 제도이지만 기존에는 5년이란 긴 유지기간과 중도해지 시 비과세 미적용 및 기여금 환수, 기여금 매칭한도 등의 제한으로 각광받지 못했습니다.
까다로운 조건때문에 망설였다면 이 글에서 크게 달라진 4가지 혜택을 확인해 보시고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1. 기여금 지원 확대
올해부터는 모든 가입자가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받을 수 있도록 모든 소득 구간에서 납입 한도까지 기여금을 매칭합니다.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1~3.3만 원까지 지원을 확대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소득이 연 2,400만 원 이하이고, 매월 70만 원을 납입한다면 매칭 한도 확대 구간 30만 원에도 기여금이 3% 지급되어 총 월 33,000원 의 기여금을 받게 됩니다. (연 9.54%의 일반적금상품과 같은 수익효과) 내 소득구간에 관한 정확한 기여금 지급액을 확인하시려면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3년 이상 유지한 경우, 부득이하게 중도해지를 하더라도 비과세 혜택과 기여금 일부(6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연 최대 7.64%의 일반적 급상품 수익효과)
3. 성실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기존에는 가입 유지 기간에 따른 별도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이 없었다면, 2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할 경우 개인신용평가점수가 5~10점 이상 자동적으로 부여됩니다. (*NICE, KCB 기준)
4. 부분인출서비스 이용
2025년 하반기 중 부분 인출 서비스가 시행되어 2년 이상 가입자의 경우 납입 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인출할 수 있는 서비스가 시행될 예정입니다.
5. 결 론
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기존보다 더 유리한 조건과 혜택으로 개편되어, 보다 많은 청년들이 자산 형성의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기존에는 5년 동안 유지해야 한다는 부담감과 중도 해지 시 불이익 때문에 망설였다면, 2025년에는 더 유연하고 실용적인 청년도약계좌를 활용해 자산 형성의 기회를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총정리! 연령·소득 기준 확인 필수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총정리! 연령·소득 기준 확인 필수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층에게 자산형성의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 만든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2025년 혜택이 넓어지면서 가입자가 급등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입조건과 신청기간,
allwave.kr
반응형'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남도 농어민수당 30만원 현금 지원! 신청기간 및 신청 방법 (0) 2025.02.26 충청남도 농어민수당 60만원 지원! 신청 기간 및 조건 (0) 2025.02.26 2025년 농어민수당 신청 총정리! 대상자·신청 방법·지급 금액 한눈에 보기 (0) 2025.02.26 2025년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 방법 및 자격 조건 총정리 (0) 2025.02.24 2025년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건강관리로 돈 버는 법! (0) 2025.02.23 2025 문화누리카드 신청 방법, 사용처, 지원금 총정리 (0) 2025.02.20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총정리! 연령·소득 기준 확인 필수 (0) 2025.02.20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신청 총정리 (0) 2025.02.18